티스토리 뷰
통상임금 계산기 사용방법
성공#$@ 2019. 2. 28. 16:11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은 통상임금에 대해서 안내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차수당이나, 각종 수당을 계산할때에 알야야하는 금액이기도 한데요. 간단하게 자신의 급여정보를 입력을 해서 알아볼수가 있는 방법이 있어요. 안내를 해볼게요.
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정기적, 일률적, 고정적으로 직급하기로한 시급, 일급, 주급, 월급 또는 도급금액이라하는데요. 보통은 시간당 금액으로 통상임금을 계산 하게 되어지는데요. 자 그럼 어떻게 확인해보는지 알려드릴게요.
여기를 눌러주시면 위에 보이시는 사이트로 이동을 하게 되어지실건데요. 이동을 하셨다면 이제 위에 보이시는것처럼 화면이 보여지게 되실겁니다. 이 화면으로 이동을 하셔서 좌측의 통상임금 계산기를 클릭을 해주시면 됩니다.
이 사이트에서는 연차수당과 연차일수도 계산이 되어지는데요. 아마 많은 분들이 오늘 검색해보신것도 연차수당을 계산해보려 하시는분들이 많으실거에요. 연차수당계산기를 사용하시면 한꺼번에 모두 되어집니다.
자 그럼 오늘은 통상임금 계산기에 대해서 소개해드릴테니 살펴볼게요. 가장 먼저 기본급을 입력하게 되어있어요. 그리고 월 수당과 1년 총상여금, 그리고 주당 근무일수, 하루근무시간등을 입력을 해주시면 됩니다.
저도 한번 임의로 입력을해보았습니다. 기본급 200만원에 월수당50, 그리고 년상여금 200이라 가정했을 경우에 하루, 그리고 시간당 정해진 금액은 얼마일까요!? 이 금액을 통해서 야근수당, 월차수당등이 정해지게 되어지는것인데요.
통상임금 계산기를 통해서 간단히 계산을 해보니 12000원이 나오네요. 시간당 금액인데요. 여기에 하루근무시간을 곱하게 되면 1일 임금이 되어지는것이죠. 그리고 야근수당도 야근시간 곱하기 이 금액으로 되어지게 된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