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농협중앙회 지역농협 계좌번호, 계좌번호 확인하는 쉬운 방법 알려드립니다
성공#$@ 2025. 3. 30. 16:05
농협중앙회와 지역농협은 동일한 이름을 사용하지만, 그 역할과 운영 방식은 상당히 다릅니다. 특히 계좌번호를 구분하는 방법은 중요한데, 이를 알아두면 각 기관의 계좌를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농협중앙회와 지역농협의 계좌번호 구분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농협중앙회와 지역농협의 차이점
농협중앙회(NH농협은행)
농협중앙회는 1금융권에 속하는 은행으로, 시중은행과 동일한 은행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NH농협은행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1인당 최대 5,000만 원까지 보호됩니다. 일반적으로 농협중앙회는 각 지역농협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제공하는 은행입니다.

지역농협
지역농협은 2금융권에 속하는 협동조합으로, 농업인들의 이익을 위해 설립된 지역 단위의 금융기관입니다. 지역농협은 'OO농협'이나 'OO축산농협' 등 지역명을 사용하여 구분됩니다. 지역농협의 예금자보호기금도 1인당 5,000만 원까지 보호되며, 주로 농업 및 축산업 종사자들이 출자하여 운영합니다.

계좌번호로 구분하기
농협중앙회와 지역농협의 계좌번호는 자릿수와 시작 숫자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농협중앙회(NH농협은행) 계좌번호
농협중앙회의 계좌번호는 보통 13자리로, 앞자리가 301 또는 302로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계좌번호가 301-0000-0000-00와 같은 형식이라면 이는 농협중앙회 계좌입니다.

지역농협 계좌번호
지역농협의 계좌번호는 13자리에서 14자리로, 앞자리가 351, 352, 356 등으로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계좌번호가 351-0000-0000-00와 같다면 이는 지역농협 계좌입니다. 또한, 적금 계좌는 354로 시작하며, 정기예탁금 계좌는 353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계좌번호의 시작 숫자
구분 |
농협중앙회(NH농협은행) |
지역농협 |
입출금통장 |
301, 302, 312 |
351, 352, 356 |
적금계좌 |
354 (적금) |
354 (적금), 356 (자유적립적금) |
예전 계좌번호 |
01, 02, 12 |
51, 52, 56 |
예시 계좌번호
- 농협중앙회(NH농협은행)
- 구 계좌: 000-01-000000
- 신 계좌: 301-0000-0000-00
- 지역농협
- 구 계좌: 000000-51-000000
- 신 계좌: 351-0000-0000-00
지점명으로 구분하기
- 농협중앙회(NH농협은행): 지점명에 '은행'이라는 단어가 포함됩니다. 예시: NH농협은행 OO지점
- 지역농협: '농협', '축산농협' 등의 단어가 포함됩니다. 예시: OO축산농협 OO지점
모바일 앱 확인
농협의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계좌가 농협중앙회인지 지역농협인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농협중앙회는 '올원뱅크' 앱을, 지역농협은 '콕 뱅크' 앱을 사용합니다.

농협중앙회와 지역농협은 그 역할과 기능이 다르며, 계좌번호로 두 기관을 구분하는 방법을 잘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농협중앙회의 계좌는 301, 302로 시작하며, 지역농협의 계좌는 351, 352로 시작합니다. 이러한 차이를 알고 있으면 계좌번호를 보고 혼동 없이 두 기관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각 기관의 특징에 맞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금융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