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법정공휴일 근무수당 계산 방법, 휴일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연장근로수당 쉽게 이해하기
성공#$@ 2025. 1. 16. 15:49
많은 직장인들이 법정공휴일에 근무하게 되면 그에 따른 추가 수당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법정공휴일 근무수당' 계산이 조금 복잡하고, 자칫 놓치기 쉬운 부분이 많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법정공휴일에 근무했을 때 지급되는 수당과 그 계산 방법을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법정공휴일 근무수당이란?
법정공휴일 근무수당은 근로자가 법정공휴일에 근무할 경우 지급받는 추가적인 수당을 의미합니다. 법정공휴일에는 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등의 국경일 외에도 설날, 추석, 어린이날 등 주요 기념일이 포함됩니다. 이 날들은 유급휴일로 간주되며, 근로자가 일을 할 경우 별도의 휴일근로수당이 지급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2s0og/btsJu9ejVRx/k6MkKVqZjI7GEKdD2n7tM0/img.jpg)
법정공휴일 근무수당 계산 방법
법정공휴일 근무수당은 근로자가 실제로 근무한 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법정공휴일에 근무한 경우, 추가로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Klr2a/btsJxlT96sk/2KOQRJc474OtpBKMrKFqwk/img.jpg)
- 법정공휴일에 근무하지 않으면: 해당 날은 유급휴일로 간주되며, 하루치 통상임금이 지급됩니다.
- 법정공휴일에 근무하면: 근로자는 근무시간에 따라 통상임금의 1.5배에 해당하는 휴일근로수당을 받게 됩니다.
법정공휴일 근무수당 산정 예시
예를 들어, 통상임금이 10,000원/시간인 근로자가 법정공휴일에 8시간 근무하고 그 중 2시간은 야간근무인 경우,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q0QNa/btsJnMkkJCG/YTlKZeXbkiyaftdEXDc1p0/img.jpg)
- 휴일근로수당: 8시간 × 10,000원 × 1.5 = 120,000원
- 야간근로수당: 2시간 × 10,000원 × 0.5 = 10,000원
- 총 지급액: 120,000원 + 10,000원 = 130,000원
따라서 공휴일에 근무한 경우, 근로자는 총 130,000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추가 수당: 야간근로와 연장근로
- 야간근로수당: 근로자가 오후 10시부터 새벽 6시까지 근무했다면, 야간근로수당을 추가로 받습니다. 이는 통상임금의 0.5배에 해당합니다.
- 연장근로수당: 만약 근로시간이 8시간을 초과할 경우, 연장근로수당도 지급되어야 합니다. 이는 통상임금의 0.5배입니다.
법정공휴일 외에 임시공휴일
임시공휴일은 국가적 행사나 경기 부양 등을 위해 정부가 한시적으로 지정한 공휴일입니다. 그러나 임시공휴일은 법정공휴일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이 날에 근무했다고 하더라도 추가 수당 지급 의무는 없습니다. 다만, 사업장의 내규에 따라 유급휴일로 인정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eJEk3/btsJwPazYTG/7zcoJ0iP9WBbCF9UMDfe6k/img.jpg)
법정공휴일에 근무한 경우, 근로자는 그에 대한 수당을 정확히 계산하고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휴일근로수당과 함께 야간근로수당, 연장근로수당 등이 포함될 수 있어, 각 수당을 정확히 계산하여 합산된 총 급여를 받아야 합니다. 법정공휴일의 정의와 근무수당 계산 방법을 잘 숙지하고, 자신의 권리를 놓치지 않도록 하세요.
![](https://blog.kakaocdn.net/dn/bLN7L4/btsJufUqStK/qtMMdBEwHawm1lBiMjhsHK/img.jpg)
기업에서는 법정공휴일에 대한 수당 지급을 철저히 이행해야 하며, 근로자들도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수당을 제대로 챙기기 위해 항상 확인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ORII/btsJnN4ClAp/SkYkprIvbUWlT5V3xvBJkK/img.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