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시는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이라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주택은 대중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위치하여 청년 및 신혼부부를 위한 저렴한 주거 공간을 제공합니다.

 

청년안심주택 공식홈페이지 - 공동체주택플랫폼 -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종류 및 특징

이 주택은 공공임대와 민간임대로 나뉘며, 민간임대는 특별공급과 일반공급으로 구분됩니다. 공공임대는 대개 3배 이상 저렴하지만 경쟁률이 높습니다. 특별공급은 전 세대의 약 20%, 일반공급은 약 80%를 차지합니다.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조건

    청년형 지원 조건

    • 나이: 만 19세 ~ 39세
    • 주택소유: 무주택자
    • 차량소유: 차량 가액 3,683만 원 이내
    • 자산: 본인 자산가액 2억 9,900만 원 이하

     

    신혼부부형 지원 조건

  • 나이: 만 19세 ~ 39세
  • 혼인기간: 혼인 후 7년 이내
  • 주택소유: 무주택 세대 구성원 또는 예비신혼부부의 경우 무주택자
  • 차량소유: 차량 가액 3,683만 원 이내
  • 자산: 본인 자산가액 3억 6,100만 원 이하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방법 및 공급 계획

청년주택 은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4년에는 총 5,155가구가 공급되며, 공공임대는 1,324가구, 민간임대는 3,831가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보증금 무이자 지원 및 대출

역세권 청년주택 정책에는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금융지원이 제공됩니다. 이에는 보증금의 최대 50%, 최대 4,500만원을 무이자로 지원하는 혜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조건과 혜택이 제공되니 자세한 내용은 해당 링크를 참고하세요.

2023년 상반기에 공급될 역세권 청년주택 의 물량은 총 3,218호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현재도 많은 입주 물량이 남아 있으니 지원자들은 시기를 놓치지 않고 신청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신청 조건

내용

나이

만 19세 ~ 39세

주택소유

무주택자

차량소유

차량 가액 3,683만 원 이내

자산

청년형: 본인 자산가액 2억 9,900만 원 이하 신혼부부형: 본인 자산가액 3억 6,100만 원 이하

공급 계획

2024년 총 5,155가구 공급 (공공임대 1,324가구, 민간임대 3,831가구)

보증금 무이자 지원

최대 50%, 최대 4,500만원 지원

2023년 공급 계획

총 3,218호 공급 (총실수 12,504세대, 나올 물량 27,528세대)

 

 

청년안심주택 공식홈페이지 - 공동체주택플랫폼 - 서울시

댓글